▮학력
1987 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학사
1989 서울대학교 대학원 소비자․아동학과 석사
2001 경희대학교 대학원 아동학 박사
▮주요경력
2005~현재 전북대학교 아동학과 조교수, 부교수, 교수
2019~2020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학장
2011~2012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부학장
2009~2010 미시간대학교 아동가족학과(Michigan State University), 연구교수
2000~2004 전북과학대학 아동복지과 전임강사, 조교수
2024~현재 전북 남원시 육아종합지원센터 위탁운영 책임교수(보육지원사업단장)
2014~현재 한국국토정보공사 직장어린이집 위탁운영 책임교수(보육지원사업단장)
2013~2017 전주산단 직장어린이집 위탁운영 책임교수
2013~2014 전라북도 아이돌보미교육사업(전라북도 위탁사업) 책임교수
2008 전주시 아이돌보미사업(전주시 위탁사업) 책임교수
2006~2015 전주시 보육정책위원회, 위원(장)
2006~현재 전북대학교 인간생활과학연구소 아동상담실 책임교수
2012~현재 한국인지발달중재학회 이사, 부회장
2012~현재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 이사, 부회장
○ 자격(현): 놀이치료 및 모래놀이치료 임상슈퍼바이저
국제모래놀이치료학회 티칭멤버(International Society of Sandplay Therapy)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모래놀이상담 슈퍼바이저(지도감독전문가)
발달재활서비스 제공인력자격(놀이심리재활), 한국장애인개발원(2022~현)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 놀이상담 슈퍼바이저(지도감독전문가)
한국부모놀이치료학회 놀이상담 슈퍼바이저(지도감독전문가)
한국아동학회 아동상담 슈퍼바이저(지도감독전문가)
인지발달지도전문가(인지발달중재학회), 학부모지원전문가(한국인간발달학회)
▮담당과목
아동권리와 복지(Children’s Rights and Welfare)
아동상담론(Child Counseling)
정신건강론(Mental Health)
발달진단및심리평가(Developmental Diagnosis and Psychological Assessment)
부모교육론(Parent Education)
(대학원)
놀이치료이론(Play Therapy Theory)
아동중심놀이치료(Child Centered Play Therapy)
모래놀이치료세미나(Seminar in Sandplay Therapy)
분석심리와 아동상담(Analytical Psychology Therapy & Child Counseling)
놀이진단및평가(Play Diagnosis and Assessment)
놀이치료관찰및실습(Play Therapy Observation and Practicum)
▮연구업적
권미나, 이진숙*(2024). 초등학생의 기본심리욕구 만족과 좌절의 잠재유형 분류와 심리사회 적응능력의 차이 및 양육행동의 예측효과 탐색. 정서·행동장애연구, 40(1), 149-165.
백은주, 이진숙*(2024).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분노표현방식 간의 관계: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5(1), 123-144.
이진숙, 김태연(2024). 보육교사의 성인애착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0(1), 21-37.
권미나, 조은빛, 이진숙*(2023).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불안이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39(4)123-142.
국은순, 이진숙*(2023). 유아 및 어머니 변인이 유아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공감 면접도구를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9(6), 55-77.
권미나, 이진숙*(2023).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친구관계와 스마트폰 의존의 이중매개효과 분석. 정서·행동장애연구, 39(3), 239-254.
정지숙, 이진숙*(2023). 아동의 반려동물 애착과 또래관계 간의 관계: 공감의 매개효과. 한국놀이치료학회지, 26(3), 275-289.
권미나, 서주희, 이진숙*(2023).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개방적 의사소통 및 정서표현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30(1), 41-27.
박수연, 이진숙*(2023). 유아의 성․연령․기질,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공감능력이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6(1), 41-62.
권미나, 이진숙*(2022). 청소년의 학업무기력 변화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9(5), 87-108.
권미나, 이진숙*(2022). 부모의 양육행동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변화궤적에 미치는 영향: 학업무기력의 매개효과 및 성별 다집단 분석, 청소년학연구, 29(4), 165-185.
정은미, 김창섭, 이진숙, 김리진(2020). 영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완벽주의 성향과 배우자의 지지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애놀이치료학회지, 3, 11-16.
권미나, 이진숙*(2020).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부정적 양육행동과 그릿, 학업열의, 스마트폰 의존성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및 성별에 따른 다중집단 분석, 인간발달연구, 27(2), 29-44.
권미나, 이진숙*(2020).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부모의 양육행동 유형화와 아동의 학교적응 및 문제행동 비교. 아동과 권리, 24(2), 179-195.
정현수, 이진숙*(2020). 영아기 어머니의 자녀가치의 변화궤적이 유아기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41(1), 1-13.
권미나, 이진숙*(2019). 아동의 어머니 애착과 분노표현방식과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만족 및 좌절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3(3), 481-496.
김민서, 이진숙*(2019).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이 아동의 또래관계 질에 미치는 영향: 아동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3(3), 461-480.
권미나, 이진숙*(2019). 아동용 기본심리욕구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아동학회지, 40(2), 143-159.
한지현, 나은영, 이진숙*(2018), 어머니의 긍정적 ․ 부정적 정서표현과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및 문제행동에 대한 구조모형분석, 인간발달연구, 25(4), 237-256.
권미나, 이진숙*(2018). 기본심리욕구에 대한 학령기 아동의 생각과 경험에 관한 연구. 아동과 권리, 22(3), 463-481.
이진숙, 한지현(2018). 유아의 내러티브 애착표상에 따른 문제행동 연구, 아동학회지, 39(2), 81-93.
한지현, 이진숙*(2017). 유아의 내러티브를 통한 애착표상 특성 및 유형 분석, 인간발달연구, 24(4), 91-107.
한지현, 이진숙*(2017). 유아의 기질과 사회적 능력 간의 관계에서 지능의 매개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8(1), 51-69.
한지현, 이진숙*(2016).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산후우울, 우울 및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7(6), 69-82.
박경애, 이진숙*(2016). 아동의 ADHD 하위유형과 부모의 양육스트레스 및양육효능감이 부모자녀갈등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7(3), 87-104.
이진숙*, 한지현, 박혜원(2016). 유아의 기질과 지능, 문제행동의 관계 분석. 아동학회지, 37(5), 117-128.
권미나, 이진숙*(2016).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리욕구 연구동향. 아동과 권리, 20(3), 459-479.
이진숙(2016).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확립해가는 여대생 사례연구, 모래놀이상담연구, 12(1), 114-141.
권미나, 이진숙*(2015).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기본심리욕구, 행복감과의 관계. 아동과 권리, 19(4), 589-610.
한지현, 이진숙*(2015). 어머니의 5요인 성격특성과 놀이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36(5), 173-188.
윤금숙, 이진숙*(2015). 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 반응의 실험연구, 아동학회지, 36(5), 155-171.
양순미, 이진숙, 김혜숙(2015). 생활영역별 농촌결혼이민여성 통합정책의 선호 정향성 및 효과성에 관한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2(3), 269-283.
이진숙, Desiree B. Qin, Eun-Jin Han, Tzu-Fen Chang(2015). Korean American Adolescent Ethnic-Identity Pride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Moderating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School Environment, ASIAN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6(2), 190-199.
박혜원, 서예나, 이진숙(2015) 한국 웩슬러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의 공준타당도 연구, 아동학회지, 36(1), 65-83.
김현미, 이진숙*(2014). 어린이집 부모면담에 대한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에 대한 연구. 인지발달중재학회지, 5(2), 61-76.
노정옥, 이진숙(2014). Selected Data on Weight Control Behavior of Korean Pupils in Jeonju/South Korea, ERNAHRUNGS UMSCHAU, 61(1), 24-30.
윤금숙, 이진숙*(2014). 좌절상황에서의 3세유아의 정서조절전략과 어머니의 반응전략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2), 93-110.
김법신, 윤금숙, 이진숙*(2013). 집단놀이치료가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스트레스와 우울,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지, 4(2), 21-34.
노정옥, 이진숙(2013). Selected data on the dietary habits of Korean students in Jeonju/South Korea. ERNAHRUNGS UMSCHAU. 60(11), 194-200.
이진숙, 김은주(2013). 아동의 기질, 부모자녀 의사소통, 또래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22(5), 433-445.
유미성, 이진숙*(2012). 성학대 경험으로 PTSD증상을 보이는 여아의 놀이치료사례. 인지발달중재학회지, 3(2), 1-18.
국은순, 이진숙*(2012). 모자가정 아동의 정서지능 향상 및 우울 감소를 위한 문학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3(2), 19-38.
이진숙*, 이소영, 노정옥(2012). 남녀 중학생의 체중상태, 체형인식 및 만족에 따른 비만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 한국생활과학회지, 21(6), 1223-1234.
황연덕, 이진숙*(2012). 아버지 의사소통과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부정적 자동적 사고의 매개역할. 아동학회지, 33(1), 223-236.
전은청, 이혜진, 이진숙*(2012). 아동을 대상으로 한 분노조절프로그램 경향분석- 2000년~2010년도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6(1), 73-95.
이진숙(2011). 재미 한인청소년의 집에 대한 장소애착,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심리적 적응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32(6), 33-48.
황연덕, 이진숙*(2010). 부모의 방임행동,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이 아동의 분노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10), 77-88.
이진숙(2010).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와 관련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761-774.
전은청, 이진숙*(2010). 아동의 모 애착 및 분노와 정서행동문제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6), 1-11.
김은경, 이진숙*((2010).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성향이 아동의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3), 1-22.
최병숙, 이진숙, 한영숙(2010). 대학생의 아동기 집과 현재 집에 대한 장소애착의 관련성. 한국생활과학회지, 19(5), 905-918. 공동(참여)
이숙인, 이진숙*, 노정옥(2010). 전주지역 일부 보육교사의 식행동 및 급식지도 활동에 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지, 23(3), 342-351. 공동(참여)
이진숙*, 최병숙, 한지현, 한영숙(2009). 아동기 집에 대한 장소애착 척도 개발과 타당화 연구. 아동학회지, 30(6), 549-566.
이영환, 이진숙, 이영순(2009). 부모공동양육을 위한 육아지원정책. 육아정책연구, 3(1), 16-86.
노정옥, 이은파, 이진숙(2009). 전북지역 보육시설의 시설유형에 따른 급식운영관리 실태 조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1), 74-83.
김병옥, 이진숙*(2008).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전략과 정서조절 능력 및 행동문제: 저소득층 아동과 일반아동 비교. 한국생활과학회지, 17(6). 1051-1064.
조효숙, 이진숙*(2008).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아동의 우울 ․ 자아존중감 ․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2(3), 105-123.
이진숙(2008). 시설보호 아동의 내적 통제소재와 행동문제 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아동학회지, 29(6). 1-14.
신민자, 이진숙(2008). 다문화 가정 자녀의 자기개념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예술치료학회지. 8(2), 1-16.
한지현, 이진숙*(2007). 시설보호아동과 일반아동의 내외통제소재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및 우울의 관계. 아동학회지. 28(6). 155-168. 공동(교신)
이진숙(2007). 국제결혼가정의 자녀양육실태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6), 21-42.
한영숙, 이수재, 오가영, 이진숙*(2007). 부-자녀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적용 연구. 미술치료연구, 14(3), 457-478.
허진, 이진숙*(2007). 집단치료놀이 프로그램이 부적응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효과. 놀이치료연구, 11(1), 89-107.
전연주, 이진숙*(2007). 가정연계 자연탐구중심 유아과학프로그램 효과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8, 1-17.
한영숙, 이진숙*(2006). 장애통합보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47(1), 65-89.
이진숙*, 한지현(2006). 시설보호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행동문제간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6), 951-959.
이진숙*, 한영숙(2006). 인지행동치료프로그램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아동에 미치는 효과- 학교폭력 피해아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과학회지, 9(2), 21-31.
조복희, 이진숙, 한세영(2005). 연변 조선족 아동의 가정환경, 내외통제성, 사회적 지지 및 행동문제 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43(3), 91-104.
▮ 저서 및 역서
이진숙 외(공저). 아동상담. 서울: 창지사, 2014
이진숙 2인(공역). 모래놀이치료-심리치료사를 위한 지침서. 서울: 학지사. 2012
이진숙 외(공저). 보육학개론. 서울: 창지사. 2012
이진숙 외(공저). (개정)아동복지. 서울: 학지사. 2011, 2021(6판)
이진숙 외(공저). 여성과 사회 2007. 서울: 태평양학술문화재단. 2007
이진숙 외(공저). 아동권리와 복지. 서울: 창지사. 2020(2판)
이진숙 외(공저). 영유아의 건강과 안전. 서울: 창지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