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보람 사진
노보람조교수
영문이름
No Boram
전공
아동발달
직위(직급)
조교수
전화번호
063-270-3843
이메일
boramno@jbnu.ac.kr
연구실
생활과학대학 112호

세부내용

자기소개 및 관심연구분야

저는 로봇이나 의인화된 캐릭터의 어떤 특성이 유아에게 생명현상으로 인식되는지를 알아보는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유아의 쓰기를 표현과 운동조절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유형화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저의 관심사를 넓게 보면 유아의 인지발달이고 좁게 보면 쓰기를 포함한 유아의 문해발달입니다. 유아 문해발달의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모의 지도,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문해경험, 디지털 미디어 활용에 관해 연구하고 있습니다.

 

I earned my master's degree for researching which characteristics of robots and anthropomorphic animation characters young children perceive as lifelike. My doctoral degree focused on examining and categorizing young children's writing in terms of expression and graphomotor control. My research interests broadly encompass young children's cognitive development, with a specific focus on literacy development, including writing. I investigate parental guidance, literacy experien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and the impact of digital media use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학력

2006-2011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아동학부 학사

2011-2014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 석사

2014-2020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 박사

 

2006-2011 B.S. in Consumer and Child Studies,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1-2014 M.S. in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14-2020 Ph.D. in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College of Human Ec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경력

2021-2024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유아교육과 조교수

2024-현재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학과 조교수

 

2021-2024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Kyungnam University, Korea

2024- Assistant Professor, Department of Child Studies, College of Human Ecology, Jeonbuk National University, Korea

 

담당과목

영유아발달(Child Development)

연구업적

노보람 (2024).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지위, 감독적 양육, 부모자녀 상호작용의 구조관계 분석. 열린부모교육연구, 16(1), 125-143.

박지윤, 노보람 (2024). 유아 환경교육 효과 및 실행에 대한 교사의 인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29(1), 193-213.

Choi, N., Jung, S., & No, B. (2023). Learning a foreign language under the influence of parents: Parental involvement and children’s English learning motivational profile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33, 237252.

노보람 (2023). 유아의 문해흥미 프로파일 및 어머니 문해지도의 영향력. 열린부모교육연구, 15(3), 43-62.

노보람, 김정희 (2023). 유아 교실문해활동에 대한 교사 언어교수효능감의 영향 및 교실문해환경의 매개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28(3), 231-254.

노보람, 최나야 (2023).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불안 프로파일: 영어성취도, 영어효능감, 자기주도학습전략과의 관계. 아동교육, 32(2), 83-102.

노보람, 김정희 (2023). 유아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활용 잠재유형 및 예측요인. 어린이미디어연구, 22(1), 187-212.

노보람 (2023). 유아가 태블릿 스크린에 남긴 글과 그림의 특징 및 쓰기운동조절 기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23(3), 237-296.

노보람, 김정희 (2022). 유치원 교사의 디지털 미디어 및 콘텐츠 활용 실제와 신념에 관한 면담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21(3), 91-125.

노보람 (2022). 유아의 디지털 미디어 사용유형에 따른 초기 문해의 차이와 어머니 문해지도 및 디지털 리터러시 태도의 영향력. 열린유아교육연구, 27(3), 127-151.

노보람, 최나야 (2022). 취학 직전 유아의 쓰기 발달: 쓰기 운동조절 및 쓰기 표현 유형을 중심으로.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43(1), 47-59.

노보람 (2021).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 놀이 활동 참여의 영향 및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13(4), 1-20.

최나야, 노보람, 최지수, 오태성 (2021).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22), 23-37.

Park, S., & No, B. (2021). An analysis of latent profiles of father-child interaction: Classification predictors and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o-emotional development.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52(3), 424-446.

No, B., & Choi, N. (2021). Differences in graphomotor skills by the writing medium and children’s gender. Education Sciences, 11, 162.

최나야, 최지수, 노보람, 오태성 (2021). 그림책을 활용한 부모-자녀 말놀이 프로그램이 책 읽기 상호작용, 4세 유아의 이야기 이해와 음운론적 인식에 미치는 효과.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2(1), 71-102.

노보람, 최나야 (2020). 성장혼합모형(GMM)을 적용한 다문화청소년의 또래지지 변화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청소년연구, 31(4), 191-222.

노보람, 최나야 (2020). 취학 직전 유아의 종이와 태블릿 스크린 쓰기 발달 비교. 인지발달중재학회지, 11(3), 27-52.